x

서울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 사이트맵

본문 바로가기
소통연대 플랫폼
복지정보 목록
복지정보
목록
언론·정치인 영향 ‘장애인 혐오표현’ 심각
 (1.♡.163.86) 19-08-28 02:47 148회 0건

언론·정치인 영향 ‘장애인 혐오표현’ 심각

국민 상당수 혐오표현 경험, 58.2%가 장애인 대상

미디어 가이드라인, 포털 벌점 부과, 정부대책 필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8-27 17:57:24
국가인권위원회는 에이블포토로 국가인권위원회는 27일 서울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혐오 현상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혐오표현 진단과 대안마련 토론회”를 개최했다.ⓒ에이블뉴스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혐오표현을 접했으며, 그 대상으로 장애인이 58.2%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은
언론정치인혐오표현을 조장한다고 평가, 모든 미디어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 및 포털사이트에서의 벌점 부과, 정부의 종합대책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모아졌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7일 서울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혐오 현상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혐오표현 진단과 대안마련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가인권위원회 에이블포토로 국가인권위원회 혐오차별대응기획단 강문민서 단장이 27일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에이블뉴스
■국민 64.2% 혐오표현장애인 대상 58.2%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 3월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4.2%가 혐오표현을 접했다.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인식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의 청소년이 혐오표현을 경험했다.

혐오표현의 대상으로는 특정 지역 출신(74.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68.7%), 노인(67.8%), 성소수자(67.7%), 이주민(66%), 장애인(58.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국민인식조사 에이블포토로 국민인식조사 속 응답자 64.2%가 혐오표현을 경험했다.ⓒ국가인권위원회
연령별로는, 20대(80.7%), 30대(71.1%), 40대(63.6%) 등과 같이 연령이 낮을수록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혐오표현을 접할 수 있는 환경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들 상당수는 ‘문제가 있는 표현이라고 생각’ 했지만, 직접적인 반대 의사 표현(41.9%)보다는 그냥 무시하거나(79.9%),
혐오표현 발생 장소나 사용자를 피하는(73.4%) 등 주로 소극적 방식으로 행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인식조사 속 실제로
혐오표현을 사용하는 사람은 10명 중 1명인 9.3%, 청소년인식조사에서는 성인보다 두 배 이상 높은 4명 중 1명 정도였다. 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과반수 정도가 혐오표현의 내용에 동의한다거나, 평소에 익숙하기 때문에 등이었다.

혐오표현 유형별 인식과 관련해 “장애인은 진짜 불쌍하다”는 편견 조장이 50.2%, “애자, 정신병자 같다. 왠지 다운증후군 느낌” 멸시·모욕이 52.1%, “장애인은 집에나 있어라” 차별·폭력 선동이 50.4% 등으로 장애와 관련된 대부분 항목에 대해 절반 이상이 혐오표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혐오표현 확산의 주된 원인에 대해서는 사회에 만연한 구조적 차별(77.4%), 가짜뉴스(72.3%), 일자리 등 경제적 어려움(68.8%) 등을 지목했다.

국민인식조사 에이블포토로 국민인식조사 속 응답자들은 언론, 정치인들이 혐오표현을 조장하는 부정적 역할을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국가인권위원회
언론정치인 “혐오 조장”, 범죄 이어질 우려까지

이 같은
혐오표현 확산은 언론정치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인식조사 속 응답자 10명 중 6명인 58.8%가 국회의원 등
정치인혐오표현을 조장한다고 평가한 것. 혐오표현을 줄이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의견(3.8%) 보다 무려 1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정치인혐오표현 대상집단으로, 특정 지역 출신(70.6%), 여성(32.8%), 성소수자(22.4%), 이주민(22.1%) 등이다.

언론혐오표현을 조장하는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응답은 49.1%로, 혐오를 줄이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의견(11.3%)보다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언론의 주된 혐오표현 대상집단으로 특정지역출신자(50.9%), 여성(38%), 이주민(32.3%), 성소수자(24.8%) 등이다.

아울러 국민들은
혐오표현을 방치했을 때 향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Fixed headers - fullPage.js
Fax. 02-3667-0877
주소 우 0725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22 | Email ydpwelfare@hanmail.net
Copyright©서울특별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 All right reserved. Designed by M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