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언어 '수어' 사라지는 교육현장 청각장애인들 ‘분통’
구어·수지한국어 중심 교육‥대통령실에 정책제안서 전달
수어 중심 교육환경 조성, 청각장애 교육 실태조사 등 담겨
- 기자명백민 기자
- 입력 2023.09.19 15:35
- 수정 2023.09.19 15:36
청각장애인 교육현장에서 제1 언어인 수어를 사용하지 않는 현실에 당사자들이 분통을 터뜨리며, 청각장애인들이 학교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수어 중심의 농교육 환경 조성과 교육권 보장을 위한 종합대책을 촉구했다.
사)한국농아인협회(이하 농아인협회)는 19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 ‘무너진 농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농아인협회에 따르면 교육은 모든 국민에게 보장된 기본권이고 이는 청각장애 학생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현재의 청각장애인 교육현장은 농인의 고유성과 교육의 방향성을 완전히 잃고 있다는 지적이다.
청각장애 교육현장에서는 음성언어와 구어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청각장애인의 제1 언어인 수어가 교육현장에서 사라지고 있으며, 청각장애 학생들의 차별 없는 교육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해서는 수어 통역과 문자 등 정당한 교육 편의가 제공돼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김완수 회장은 학생 시절 교사가 수어가 아닌 구어와 수지한국어를 강요해 어려움을 겪다가 한국을 떠나 일본으로 유학을 가야 했다고 토로했다.
수지한국어는 청각장애인의 제1 언어이자 모어인 한국수어와 달리 한국어에 기반한 수어표현이다. 이는 정식 언어가 아니기에 청각장애인이 수지한국어로 대화할 때는 맥락상 이해는 할 수 있지만, 손동작 이외의 기호인 비수지기호의 활용이나 문장 호흡의 길이 등의 차이로 인해 대화가 길어질수록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김완수 회장은 “한국에서 수업을 들을 때 선생님들이 수어를 하지 못해 언쟁을 벌이기도 했다. 고등학교에서도 선생님께 수어를 요청하자 다른 학교로 가라고 했고 더 이상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 나는 일본으로 떠나게 됐다”고 회상했다.
이어 “일본에서는 내가 서툴러도 선생님들이 같이 노력해 주었고 수어 중심의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굉장히 즐거웠고 공부에 대한 효과도 늘낄 수 있었다. 하지만 졸업을 하고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보니 교육현장은 3년 전, 10년 전 모습 그대로였다”고 지적했다.
청각장애인 당사자 이상현 씨 또한 “학생 시절 학교에서 한국수지와 구어를 강요했고 짜증 나는 학교생활을 보냈다. 특히 구어를 잘하는 학생을 칭찬하며 그 친구를 따라가라고 말하는 선생님에게는 너무 화가 났다”고 회상했다.
아울러 “말을 못하면, 구어를 못하면 지식이 떨어지는가. 음성언어를 해야만 이 사회에서 살아남게 되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며, “청각장애인 교육정책을 전문가 집단에만 떠맡기지 말고 청각장애인 당사자들이 건의하는 정책들을 수용해 달라. 청각장애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변혁을 일으켜달라”고 강조했다.
농아인협회 김진수 부장은 “한국수어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은 청각장애인의 권리다. 수어를 제1 언어로, 한국어를 제2 언어로 교육받을 수 있게 해달라. 영국도, 일본도 다 가능한데 왜 우리나라만 안되는 것인가. 더 늦기 전에 무너진 농교육을 바로 세우고자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에 농아인협회는 최근 농교육의 전면적인 재구조화와 수어 중심의 농교육 환경 조성을 촉구하며 펼친 ‘농인과 가족 3만인 서명운동’의 서명서와 정책제안서를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정책제안서에는 ▲농학교와 일반학교의 농교육 실태조사 ▲수어중심의 농교육 환경 조성 ▲특수교사 양성체계를 개편을 통한 전문성 갖춘 교사 배출 ▲청각장애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종합대책 수립 등 내용이 담겼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